라벨이 옥상방수인 게시물 표시

비 오는 날 물이 새기 시작했다면? 방수 응급처치법과 공사 전 주의사항

이미지
비 오는 날 물이 새기 시작했다면? 방수 응급처치법과 공사 전 주의사항 “천장에서 물이 뚝뚝 떨어지기 시작했어요. 갑자기 집이 물난리가 됐습니다.” 비 오는 날 갑작스럽게 시작된 누수, 대부분 당황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럴수록 빠른 응급처치와 정확한 대처 가 중요합니다. 방수공사 전문가 입장에서 볼 때, 초기 대응이 공사의 비용과 성패를 좌우하기 때문입니다. 1. 비 오는 날 누수 발생 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누수가 발생한 지점을 빠르게 파악합니다 (천장, 벽, 창틀 등). 젖은 전기 콘센트나 전자기기에서 멀리 떨어지세요. 바가지나 대야를 이용해 물을 임시로 받는 것이 좋습니다. 물이 흐르는 경로를 따라 수건, 신문지 등을 깔아 2차 피해를 막습니다. 2. 긴급 방수 응급처치 방법 시중에서 구입 가능한 방수 테이프나 실리콘으로 임시 조치를 할 수 있습니다. 물기 제거 후 방수테이프를 누수 부위에 단단히 감쌉니다. 실리콘은 건조된 표면에 발라 1차 밀폐를 시도합니다. 구조적인 문제일 경우, 응급처치만으로는 해결되지 않으므로 정식 공사가 필요합니다. 3. 응급처치 후, 정식 방수공사 전 반드시 확인할 점 응급조치 이후에도 물이 다시 새기 시작한다면, 정밀 점검과 시공이 필요합니다. 단, 공사 전에 다음 항목을 반드시 확인 해보세요. 누수 원인이 지붕/옥상인지, 창틀인지, 벽체 구조인지 기존 방수층의 연식과 공법 현재 주택의 구조상 필요한 공사 범위 정식 시공으로 넘어가기 전, 아래 내용을 먼저 체크하세요: ✔ 시공사는 어떻게 선정해야 할까요? (인생공사연구소) ✔ 철거 전 방수층 손상 방지 체크리스트 (철거상담소) ✔ 실내 리모델링, 순서를 모르면 자재 낭비부터 시작됩니다 (리모델링인사이드) 4. 전문가가 말하는 ‘방수 실패’의 공통 원인 다음과 같은 사례는 방수공사 실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응급처치 후 방치 → 누수 범위 확대 ...

방수 시공 후 1년 만에 다시 새는 이유는?

이미지
  “작년에 시공했는데 또 물이 샌다구요?”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방수공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짧은 시간 안에 다시 누수 문제를 겪습니다. 비용도 시간도 들였는데 다시 물이 샌다면, 도대체 뭐가 잘못된 걸까요? 이번 글에서는 실제 방수 시공 현장의 사례를 통해 문제 원인을 분석 하고, 하자 없는 방수를 위한 핵심 체크포인트 를 정리해 드립니다. 🔍 1. 자재 불량 혹은 미적합 사용 우레탄, 아스팔트, 시트, 침투성 등 방수재 종류는 다양한데요, 상황에 맞지 않는 자재를 선택하면 시간이 지나며 하자가 발생합니다. 특히 저가 자재를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과 습기에 약해 1~2년 내 크랙이나 박리 현상 이 생길 수 있습니다. 🔧 2. 시공자 숙련도 문제 방수는 보기보다 고도의 기술이 요구됩니다. 경험이 부족하거나 시공 순서를 제대로 지키지 않은 경우 물길을 막는 데 실패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는 이음부 처리 미흡, 표면 정리 부족, 경사 설계 누락 등이 있습니다. ⏳ 3. 사후 관리 소홀 방수공사는 끝났지만 유지관리는 계속되어야 합니다. 배수구 막힘, 외벽 균열 방치 등 사소한 문제도 누수로 이어질 수 있죠. 1년에 한 번 점검하고, 의심 증상이 보이면 바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하자 방지를 위한 체크포인트 시공 전 반드시 방수 자재와 시공 방식 을 계약서에 명시할 것 이음부, 모서리, 배수구 중심으로 꼼꼼하게 확인 시공 후 사진 및 시공 리포트 요청 공사 완료 후 AS 조건 명확히 확인 🧾 결론 방수는 '눈에 보이지 않는' 공정이지만, 문제가 생기면 눈에 띄게 큰 피해로 이어집니다. 하자 없는 시공을 위해서는 믿을 수 있는 전문가와 정확한 절차 가 가장 중요합니다. 📎 연관 콘텐츠 보기 👉 실내 시공 순서와 자재 선택 팁 👉 철거 시 안전사고 예방 사례